
2022년 글로벌 / 토종OTT 어디로 향하고 있나? (강의 추천)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제레미레터 에디터 김종원입니다.
지난 7월 6일 제레미레터의 구독자 여러분을 모시고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OTT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날 세미나에는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셨습니다.

넷플릭스의 가입자 손실이 구조적일까? 에 대한 물음으로 글로벌 OTT 시장을 분석해 보았구요, 특히 경기 불황 시점에 등장한 광고 OTT들의 약진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특히, 한국과 미국의 OTT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 물음에 대해 자세히 분석 해보았습니다. 한국이 미국의 미디어산업을 다소 후행적으로 추종해 간다고 볼 때 이 물음은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오징어게임 시즌2, 최근 이상한변호사 우영우 등 K-콘텐츠가 OTT 트렌드로 만들어진 한국 미디어 산업의 대단한 약진 이지요. 앞으로 K-콘텐츠가 계속 이런 호황을 누릴 수 있을까요? 이런 문제도 살펴보았습니다.
강의 후에는 광고 OTT에 대한 질문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콘텐츠와 플랫폼 중에 앞으로 어떤 분야를 집중 육성해가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에 관한 의견도 있었는데요.
이 강의를 VOD로 준비하였습니다.
1시간 정도의 강의를 8개 세부 항목으로 편집하여 최근 스타트업으로 학습 플랫폼을 런칭한 "런핏(learnfit)" 에서 유료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 강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강의보러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