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우리학교는 : 찬사와 비난

지금우리학교는 : 찬사와 비난

Jeremy
Jeremy

독자여러분들께서는 12부작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 을 시청하셨는지요? 아직 시청하지 않으셨다면 아래의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전세계 1위 랭크

한국이 만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 (All of Us are dead)’ 는 공개 후 3일만에 46개국에서 1위를 기록했다. 한국, 일본, 프랑스, 독일 등에서 1위 미국에서는 2위를 지키고 있다.

‘지금 우리 학교는’ 넷플릭스 90개국 TOP10 강타 ‘신드롬’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이 공개 직후 91여 개국 넷플릭스 TOP 10 리스트를 강타하며 신드롬의 시작을 알렸다. 공개 전 영미권에서만 예고편 누적 조회 수 1600만 뷰 이상(1월 27일 기준)..
출처 : Flixpatrol

미국은 7.7점 vs 한국은 2.4점

미국 영화 정보 사이트 IMDB에서는 7.7 점이고 로튼토마토의 평균 청중 지수는 82% 로 높게 평가 받고 있다. 유투브의 리뷰 영상들은 해외 반응을 포함하여 국뽕 수준의 칭찬일색이다.

IMDB 평점 분포 : 7.7
로튼토마토 지수

하지만 한국의 왓차피디아 점수 2.4점, 키노라이트 65.28%로 해외 평가에 비해 매우 낮은 성적표를 받고 있다. 왓차피디아에서 같은 좀비 장르인 부산행, 킹덤 시리즈등의 평가는 4.0에 가깝다는 것을 보면 ‘지우학’에 대한 평가는 매우 인색하다.

왓차 평점 분포 : 2.4

왓차의 평가들을 읽어보면 원작 웹툰 지우학의 스토리가 많은 부분 변경 되었다는 점, 그리고 좀비물 특유의 단순성의 매력이 부족하는 점, 한국적 신파가 몰입을 방행 하는 점, 성추행을 연상하는 표현등 선정적 표현 수위가 높아 불편하다는 점 등이 낮은 점수를 받는 요인이다.

특별히 주인공이 없이 학생 그룹 전체가 주인공 처럼 연기를 하다보니 각각의 사연들을 모두 설명해야 하니 12부작이 다소 길다는 평은 사실이다. 가장 비판이 많은 지적은 가족, 친구들 사이에서의 감정 선들이 지극히 신파조여서 몰입을 방해 하거나 공감이 안된다는 평가도 많다.

아래 유투브 리뷰 영상을 참고해보자.

왜 좀비에 열광하는가?

좀비 장르는 본래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극명하다. 모든 좀비 이야기는 인간의 생존 욕구를 투영하고 있다. 죽은자들인 좀비들의 추격과 이를 뿌리치려고 하는 살아있는 자들의 혈투는 단순하고 원초적이다. 피가 넘쳐나는 장면들 속에서 폭발적 몰입과 아드레날린이 넘쳐난다. 내 안에 존재하는 생존 본능을 자극하기 때문이 아닐까?

자고 일어났더니 세상이 모두 좀비로 변해버린 세상을 그린 미국 최고 좀비 시리즈 <워킹데드>와 달리 지우학은 평온한 세상이 갑자기 좀비 세상으로 바뀔 위험에 처한 상황을 그리고 있다. 그 스토리의 그라운드 제로는 한국 사회의 모순 구조를 총체적으로 담아내고 있는 학교이다.

사회적 메시지가 강한 K-좀비

‘지우학’은 왜 좀비로 변하고 있는 사회와 집단의 모순들을 담아내고 있다. 인간의 탐욕 때문에 좀비가 만들어진 넷플릭스의 킹덤 시리즈도 유사했다. 지우학은 강한 사회성이 담겨져 드라마적 스토리가 강한 ‘K-좀비’를 진일보 시킨 작품이다.

여러 해외 언론들의 평가 중에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온세계를 뒤흔드는 어두운 실존주의를 그린 작품"이라고 평했다. 워딩 자체로만 보자면 좀비 장르에 대한 평가인기 싶은 수준이다.

All of Us Are Dead: Netflix’s Korean zombie show will blow you away
This South Korean monster series in a high school is a world-beating piece of doomy existentialism. Bring on more of it

미국의 소셜미디어에서 지우학의 평가 등 언급 수준이 매우 높다는 점(아래 표 참조)에서 보면 지우학에 주어진 후한 평가는 K-좀비에 대한 찬사임은 분명하다.

출처 : Variety 

넷플릭스등 OTT들은 유독 고등학교 드라마를 좋아한다. 넷플릭스가 제작한 리버데일, 루머의 루머의 루머, HBO 드라마 유포리아는 모두 고등학교 배경이다.

학교는 극단적 경쟁이 일상화된 구조를 담고 있고 관계를 단절한 채 오로지 공부에만 몰두하는 학생과 지독한 왕따에 시달리는 그룹 등 수위만 다를 뿐 변하지 않는 폐쇄성을 가진 집단이다. 이런 공간에서 벌어지는 좀비 혈투는 교실, 학생 식당, 도서관, 교무실, 양호실, 과학실, 음악실, 체육관 등 우리에게 익숙한 공간에서 처절히 싸워 좀비를 막아내는 학생들의 처연한 투쟁이 섬뜩할 정도로 슬프다.

좀비 바이러스는 폭력 시스템에 대한 대항

웹툰 원작과 달리 지우학이 만들어낸 좀비 바이러스는 과학선생인 이병찬이 극심한 왕따에 시달리는 아들을 살리기 위해 만들어낸 물질이다. 아버지로써 이병춘은 바이러스를 만들어내기 전 왕따를 막기 위해 학교에 고발 노력을 해보지만 실패를 거듭한다. 결국 폭력이 구조화된 시스템을 막아내는데 실패한 아버지의 선택은 강한 아들을 만들기 위해 바이러스를 투약하는 것! 아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가장 강함 포식자가 되어 세상에 맞서도록 하려는 그의 이상주의적 발상이 결국 세상을 좀비로 변하게 만들었다.

좀비 바이러스를 만든 이병찬 교사

"어른들 안 믿어"

바이러스가 퍼지고 이를 막아내는 방역 당국의 모습은 마치 코로나 19를 연상 시킨다. 그리고 효산고의 아이들은 세월호의 악몽과 닮아있다. 체육관으로 이동하기 위한 토론에서 겁에질린 학생이 “어른들이 알아서 구하러 오니 여기에 그냥 있자” 고 제안하자 주인공은 이렇게 말한다. “난 어른들 안 믿어” .. 이 말은 세월호에 대한 서늘한 비판이자 드라마를 관통하는 주제이다.

좀비를 차단하기 위해 효산시에 계염령을 선포하는 모습은 1980년도 광주와 닮아있다. 바이러스의 차단은 좀비를 죽이는 것 말고는 답이 없다는 결론에 효산시의 학교와 주요 시설의 폭격을 지시한다.

계엄령을 선포하는 장면

무자비한 폭격이 마무리 된후 계엄 사령관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무책임한 행동으로 보이는 책임자의 자살은 책임도 사과도 없던 1980년도를 비웃는 은유와도 같다.

좀비가 되기전 "자기 희생" 은 뭉클한 공감

좀비에게 물리면 바로 좀비가 되는 것이 기존 표현이었다. 하지만 지우학에서 물린 학생들은 좀비로 변하기 직전 몇 초 동안 자기 희생 행동을 보여준다. 친구들을 보호하기 위해 좀비 무리에게 몸을 던지거나, 감염된 미혼모는 자신의 아기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묶고 식당 문을 봉쇄 시킨다. 생존이 마감되기 직전의 이러한 희생이 지우학의 백미이다.

절반만 좀비 "절비"

지우학에서는 좀비도 있지만 ‘절비’도 있다. 절반만 좀비라는 학생들의 우스개 소리인데 바이러스가 진화하면서 좀비 보다 우세종으로 변한 더욱 강한 좀비를 일컫는다. 지우학에 등장하는 3명의 ‘절비’들은 인간처럼 생각이 가능하지만 인간을 잡아먹는 좀비의 성능을 지녔다. 결국 살아남은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는 과학 선생 이병춘의 경고 처럼 좀비의 진화가 역설적으로 읽힌다.

지우학의 마지막 장면에 좀비에 물렸지만 좀비가 되지 않고 반 인간으로 살아남은 학교 반장 ‘남라’ 가 이런 말은 한다.

“학생이 그렇잖아. 어른도 아니고 애들도 아니고, 사람도 아니고 괴물도 아닌것과 같아”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 학생 이라는 존재에 대한 대우와 인식이 어디 있는지 묻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K-좀비

사회적 메시지를 영상에 융합시키는 스토리텔링은 한국 콘텐츠의 큰 힘이다. 오징어게임이 찬사를 받은 이유이기도 했지만 지우학도 이런 면에서 기존 좀비 장르와 차별화되었다는 것이 해외 언론들의 평가이다. 그리고 "학교" 라는 공간을 악몽 같은 좀비 현장으로 너무나 빛나게 활용했다는 점도 인정 받을만 하다.  이를 표현하기 위한 기술력과 완성도는 더할 나위 없이 높다. 좀비들의 디테일한 움직임과 좀비들의 특수 분장들은 생동감을 제공했다. 좀비 시리즈로의 박진감은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위 Radio Times가 트위터에 투표한 결과로 보면 83.5%가 시즌2를 희망하고 있다. 지우학은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오로지 흠이라면 12부작의 너무 긴 러닝타임이지만 충분히 투자할 가치가 있다.

jeremy797@gmail.com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OTT 현장 전문가의 인사이트를 유료구독 해보시는 것은 어떠세요?

이달의 무료 콘텐츠를 모두 읽으셨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