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TT 핵심 장르가 된 애니메이션의 반란
애니메이션은 한때 하드코어 팬들만의 틈새 장르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현재 애니메이션은 OTT의 핵심 장르로 부상하며 그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3배 증가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애니메이션 엑스포에서 넷플릭스는 애니메이션 시청률이 지난 5년 동안 3배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전 세계 넷플릭스 가입자 중 50% 이상인 1억 5천만 명이 애니메이션을 시청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간 넷플릭스의 비영어권 글로벌 Top 10 순위에는 애니메이션 작품이 33개 포함되었으며, 이는 2021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3년, 영화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는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영화 ‘피노키오’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한 후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애니메이션은 영화일 뿐, 장르가 아니다.”

이 말은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자화자찬이 아니더라도, 일본 덴츠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애니메이션이 주류 콘텐츠로 부상했다는 흥미로운 시사점이 발견됩니다.
미국, 일본, 영국, 중국 등 10개국의 8,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조사는 애니메이션 시청률 증가, 세대 변화, 팬덤 참여, 그리고 애니메이션 IP를 활용한 브랜딩 상품의 기회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애니메이션 : 대중 문화로 확장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1%가 1주일에 1회 이상 애니메이션을 시청합니다. 중국,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지역이 애니메이션 소비를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 시장에서도 시청률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미국 응답자의 3분의 1은 매주 애니메이션을 시청하고 있으며, 이는 애니메이션이 광범위한 대중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당연한 결과일 수 있지만, 이러한 성장세는 젊은 세대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Z세대의 50%와 밀레니얼 세대의 48%가 매주 애니메이션을 시청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주도
이러한 애니메이션 시청 증가 추세의 혜택은 넷플릭스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애니메이션 시청자의 48%가 넷플릭스를 구독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디즈니+가 32%,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가 2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니의 크런치롤은 애니메이션 전문 OTT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훌루의 애니메이션 투자가 주목받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의 '아이치이'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렇게 애니메이션이 주류 콘텐츠로 부상하는 원동력은 무엇일까요?
스토리텔링, 감정표현, 문화적 다양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깊이 있는 스토리텔링, 섬세한 감정 표현, 그리고 문화적 다양성이 그 이유입니다. 시청자들은 '독특한 세계관과 스토리'와 '다양한 장르'를 가장 큰 매력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미국 시청자들의 30%는 헐리우드 프랜차이즈 콘텐츠에 대해 높은 피로감을 느끼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의 참신성에 주목하고 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팬들의 구매력
여러 지역 중에서 미국 애니메이션 팬들은 응답자의 40%가 지난 1년간 애니메이션 IP를 활용하여 제작된 상품에 200달러 이상을 지출했다고 응답했습니다. 20%는 500달러 이상을 소비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도 중국과 태국의 시청자 반응이 뜨겁습니다. 중국에서는 22%, 태국에서는 16%의 응답자가 200달러 이상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종주국인 일본의 시청자 반응은 다소 의외입니다.

애니메이션 팬덤은 단순한 상품 구매를 넘어 팬들이 스스로 창작자로 변모하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미국 시청자의 10%는 직접 애니메이션 팟캐스트나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에서 관련 상품을 직접 판매하기도 합니다.
애니메이션 팬덤은 OTT 참여 문화를 변화시킬 만큼 매우 적극적입니다.
애니메이션 시청자의 40% 이상이 애니메이션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이나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브랜드의 프로모션이 진행될 경우, 해당 브랜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변화한다고 응답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이 비율이 60%로 증가합니다.
33개 언어 더빙
넷플릭스는 전 세계 애니메이션 시청자의 80~90%가 더빙으로 콘텐츠를 시청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는 이러한 수요를 반영하여 33개 언어로 더빙과 해설을 포함한 오션을 애니메이션 콘텐츠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신작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선두를 달리는 작품은 일본 만화 원작의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사카모토 데이즈’입니다. 시즌1 작품은 일본, 한국, 프랑스 등 54개국 차트에 올랐습니다.

애니메이션은 모든 연령대의 관객이 즐길 수 있는 영화와 TV시리즈, 환상적인 모험심을 심어주는 아동용 작품, 그리고 최근 전 세계 구독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음악이 결합된 ‘K 팝 데몬 헌터즈’와 같은 다양한 작품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인기 애니메이션 작품인 ‘K 팝 데몬 헌터즈’의 제작진은 이 작품을 2026년 아카데미 시상식에 출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애니메이션이 대중속으로 확산되는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애니메이션이 OTT 선택을 결정
덴츠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스트리밍 구독 상품을 선택하거나 평가할 때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보유 수준과 품질을 주요 고려 사항으로 삼고 있다고 분석됩니다.
지난 6월,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인 스튜디오 미르는 디즈니의 마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애니메이션 생태계가 주류로 편입된 OTT 애니메이션 경쟁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jeremy797@gmail.com